|
|
|
작성일 : 04-10-17 21:23
글쓴이 :
조홍중
 조회 : 19,404  추천 : 878
|
▣_장애이해(재활심리학회_원고).ppt (113.5K) [342] DATE : 2004-10-17 21:23:50 | 편견의__5단계.hwp (39.0K) [278] DATE : 2004-10-17 21:23:50 |
▣ 시간제 특수학급
1) 시간제학급이란?
학생은 학교에 있는 동안 일정 시간을 특수학급에 배치되고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받는다. 종종 시간제 혹은 배제(pullout) 프로그램으로 일컬어지는 이 모델에서는 특수교사가 규명된 영역에 대해 소집단이나 개별로 학생을 가르치게 된다. 해당 학생은 나머지 시간동안에는 항상 일반학급이나 활동 혹은 개별화교육계획팀이 적절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2가지 모두에 주류화된다(mainstreamed).
주류화(mainstreaming)는 보통의 수업일 주 지정된 시간 동안 장애학생들을 비 장애학생들과 함께 어떤 교육환경에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배치는 교과영역, 비교과영역, 혹은 과외활동의 속성을 지닐 수 있다. 특수교사는 학생이 자신이 주류화된 학급에서 성공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필요한 수정을 일반교사에게 제공한다.
2) 시간제학급의 장점
- 학생들은 주류화된 학급에서 또래들과 함께 있음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이익을 얻는다.
- 학생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학습요구에 맞추어진 개별교수나 소집단 교수를 받는다.
- 모든 학생들과 교사들은 다양성 및 개인적인 요구를 배려하는 것에 대해 배운다.
3) 시간제학급의 단점
- 학생들은 그들이 일반학급에서 배제될 때 때때로 흥미있거나 중요한 수업을 놓친다.
- 학생들은 일반학급에서 배제됨으로 인해 오명을 쓴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학교교육이 어려울 수 있다.
- 때때로 학생들은 주류화된 학급의 수업을 따라갈 수 없다.
인용: Flora B. Kupferman, Bureau of Jewish Education of San Francisco, the Peninsula,
Marin and Sonoma Counties.
신현기역(2006). 성공적인 현장적을 위한 초임특수교사용 지침서,교육과학사, p.72-74.재인용.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