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홍중닷컴

HOME Contact... 조홍중 소개특수교육의 소개장애논문 소개용어설명게시판

장애일반
시각장애
청각/언어장애
지체장애
건강장애
지적장애
발달장애
학습장애
교육학일반
img3.gif

 
작성일 : 03-04-27 01:31
학습장애 선별 체크리스트
 글쓴이 : 조홍중 (210.♡.211.24)
조회 : 16,552   추천 : 535  
   학습장애_행동특성.hwp (5.1K) [590] DATE : 2003-04-27 01:31:40
▣ 학습장애 선별 체크리스트

  정상의 지능을 지니고도 읽기, 쓰기, 수학적 추리 및 문제해결, 연산 등의 영역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영역에서 해당 영역의 학습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본기능 수행수준이 동일한 연령의 집단보다 많이 뒤떨어져 특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아동은 다음과 같은 행동들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행동을 나타내는 아동은 일단 학습능력에 문제를 지닌 것으로 의심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⑴ 국어나 수학 등의 과목에서 한 과목 또는 그 이상 과목의 학력이 학년 수준에 비해 많이 부진하다.
⑵ 읽기를 할 때 낱말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읽기를 지나치게 느리게 하거나 낱말을 빠뜨리거나,
    다른 말로 바꾸어 읽거나, 앞 뒤 낱말을 바꾸어 읽는다.
⑶ 쓰기를 할 때 속도가 지나치게 느리거나, 글자를 앞 뒤, 상하로 바꾸어 쓰거나, 읽을 수 없을
    정도의 난필로 쓴다.
⑷ 연산과정에 정확도와 속도가 지나치게 떨어진다.
⑸ 도형 따라 그리기 등 공간협응 지각과정에서 정확도와 속도가 지나치게 떨어진다.
⑹ 학습과제 수행시 주의가 산만하여 교사의 주의를 자꾸 듣거나 감독을 필요로 한다.
⑺ 기억력이 지나치게 떨어진다.
⑻ 문제해결전략이나 학습전략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한다.

출처: 정동영, 김형일, 정동일(2001).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사 연구. 국립 특수교육원, 178.


▣ 학습 장애아 선별방법
1. 일반적인 학습장애의 선별방법
  읽기, 셈하기, 쓰기를 평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시행된 표준화 검사에서 나이, 학교교육, 지능에 비해 기대되는 수준보다 성적이 2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날 때 학습장애로 말 할 수 있다. 즉, 아동의 능력과 학업성취수준이 심각한 불일치를 이루며, 대부분 아동들이 사용하는 공부방법과 자료로는 배울 수가 없음으로 특별한 공부방법을 필요로 한다. 단, 주된 요인이 정서적 문제나 학습기회의 부족은 아니어야 한다. 

2. 읽기 학습장애 선별
  ① 읽기의 정확도 또는 이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 검사에서, 읽기 성적이 개인의 생활 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연령에 적합한 교육에 비하여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하게 낮을 때
  ② 읽기 기술이 요구되는 학업이나, 일상 생활 활동에 심각한 문제가 있을 때
  ③ 만약 감각 결함이 있다면, 읽기 장애는 통상적으로 감각 결함에 동반되는 정도를 초과해서 심한 정도로 나타날 때

3. 셈하기 학습장애 선별 기준
  ①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 검사에서, 셈하기 능력이 아동의 생활 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나이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하게 낮을 때
  ② 장애가 계산이 요구되는 학업의 성취나 일상 생활의 활동을 현저하게 방해가 될 때
  ③ 만약 감각 결함이 있다면, 능력 장애는 통상적으로 감각 결함에 동반되는 정도를 초과해서 심한 정도로 나타날 때

4. 쓰기 학습장애의 선별
    ① 개별적으로 실시된 쓰기 기술 기능 평가에서 쓰기 능력이 아동의 생활 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나이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하게 낮을 때
    ② 체계적이며,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쓰는 등의 쓰기 능력이 필요한 학습이나 일상  생활의 활동에 문제가 심하게 나타날 때
    ③ 만약 감각 결함이 있다면, 쓰기 장애는 통상적으로 감각 결함에 동반되는 정도를 넘어선 심한 정도로 나타날 때


▣ 학습장애아에게 나타나기 쉬운 행동 특성(8개 영역 30항목)

  학습장애 편집부편(1989)에 의하면 사용법은 각 항목에 대해서 아이의 행동과 대조해서 자주 그렇다(2점), 때때로 그렇다(1점), 거의 그렇지 않다(1점)로 평가한다. 판정은 각 항목의 득점을 범주마다 합계하여 8개의 범주 중 2점 이상의 범주가 6개 이상이거나, 혹은 2점 이상의 범주가 4-5개라도 전체득점이 20점 이상이면 학습장애로 판정될 만한 전형적인 행동특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간주한다. 

【범주1】활동 수준의 이상
 1. 침착성이 없고, 가만히 있지 못한다.
 2. 예상할 수 없는 행동을 한다(일관성이 없고,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
 3. 전체적으로 무기력하고, 동작이 굼뜨고, 언제나 멍청하게 있다.

【범주2】전도성
 4. 짧은 시간 동안만 하나의 일에 집중한다.
 5. 주위의 대수롭지 않은 일에 신경을 쓰기 쉽다.
 6. 타인과 대화할 때 시선을 돌린다.

【범주3】협응운동의 빈약함
 7. 손끝의 서투름이 눈에 띈다(가위사용, 단추 잠그고 끄르기 , 끈 묶기 등).
 8. 발 돋음이나 한쪽 발로 서기가 잘 안된다.
 9. 걷거나 달릴 때 수족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다(움직임이 어색하고 원활하지 않다).
10. 전신을 사용한 협응운동이 서투르다(공돌이, 줄넘기, 뜀틀, 철봉, 매트 등).

【범주4】충동성
11. 돌발적인 행동이 잘 보인다(갑자기 사람을 치거나 마구 고함을 지르거나 한다).
12. 위험한 일을 아무렇지 않게 한다(물건들을 휘두르거나 책상 등에 올라가거나 밖으로
    튀어나간다).
13. 새로운 환경이나 자극이 많은 환경에 들어가면 곧 사람이나 물건에 접촉하고 싶어하거나
    안정감이 없다(교실의 아동이나 처음인 장소).

【범주5】정서의 불안정감
14. 마구 말하거나, 말하기 시작하면 멈추지 않거나 한다(크게 웃거나 잇달아서 얘기한다).
15. 긴장하기 쉽고 대수롭지 않은 일에 놀라거나 허둥거린다.
16. 초면이나 모르는 사람에 대해서 아무렇지 않게 말을 걸거나 한다(뜻밖에도 친숙하게 굴거나
    주눅이 들지 않은 태도를 취한다).
17. 제멋대로의 행동이 많고, 또래와 어울리지 못한다(남의 물건을 빼앗거나 싸움이 많다).
18. 발작적인 증상이 있다(발작, 빈번한 깜박임, 현기증 등).

【범주6】고집성
19. 같은 동작(신체 어딘가를 감촉하거나 두드리는 등)을 반복하거나 언제나 같은 물건(고무줄,
    연필 등)을 만지거나 깨물거나 만지작거리고 있다.
20. 같은 놀이를 오래 한다(나무쌓기나 블록, 모래놀이 등)
21. 하나의 화제에 구애받거나 같은 질문을 한다.

【범주7】인지의 장애
22. 좌․우의 개념이 성립되어 있지 않다(우측, 좌측, 우향우 등의 지시를 모르는 일이 있다).
23. 일시에 대한 개념이 성립되어 있지 않다(어제, 내일, 그제, 모래 등을 틀리는 일이 있다).
24. 장소나 위치의 개념이 성립되어 있지 않다(길 순서, 책상의 위치 등).
25. 기본적인 수 개념을 이해 못한다(대소, 대수의 개념이나 10이하의 숫자의 가감 등).

【범주8】언어의 지체
26. 알아듣기 어려운 말씨로 말한다(말소리가 분명치 않거나, 빠르거나 이상한 소리로 말한다).
27. 책을 읽게 하면 굉장히 더듬거린다(더듬거리며 읽기, 맘대로 읽기, 빠뜨리고 읽기, 어미를
    바꾸는 등).
28. 같은 학년 중에서 문장내용을 파익하는 것이 특히 서툴다(개요를 파악한다거나 정리하는 것이
    어렵다).
29. 쓰기가 서툴다(판독하기가 어려운 난잡한 글씨를 쓰고, 오자, 탈자가 많으며 한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30. 문장을 쓸 때 문법적인 실수가 많다(조사를 빠뜨리거나 틀리게 쓴다).

출처:
  학습장애 편집부편(1989). 학습장애아 선별을 위한 체크리스트.
  김홍주, 여용운, 강수균, 이점조(2000).개정 특수교육학, 교육출판사, p,259-260.



▣ 학습장애아를 위한 일반적인 유의점

 1. 장점을 찾아 모두 인정 해 준다.
 2. 자신감을 키운다.
 3. 못하는 것이 아니라 습득에 시간이 걸린다.
 4. 적절한 지원을 해준다.
 5. 아이에게 자극적인 말을 하지 않는다.
 6. 자율성을 키운다.
 7. 가사일을 분담시킨다.
 8. 창피를 주지 않는다.
 9. 남과 비교하지 않는다.
10. 무리한 과제를 부여하지 않는다.

출처:
김홍주, 여용운, 강수균, 이점조(2000).개정 특수교육학, 교육출판사, p,259-260.



 
 

Total 7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 학습장애의 정의 조홍중 08-03 19899 608
6 학습장애의 진단방법 조홍중 04-27 16969 545
5 학습장애 선별 체크리스트 조홍중 04-27 16553 535
4 특정학습장애 조홍중 01-04 15702 511
3 학업부진아(underachiever) 조홍중 12-31 14384 493
2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ies) 조홍중 12-24 17412 544
1 정신지체아의 진단 및 평가 조홍중 12-24 14736 516

Copyright(c) Cho Hong Joong All rights reserved.
Comments & Questions
hongjoong-cho@hanmail.net , develop20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