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작성일 : 03-04-27 01:26
글쓴이 :
조홍중
 조회 : 15,271  추천 : 591
|
1. 언어장애 선별 체크리스트
말의 조음, 음성, 말의 유창성 등의 문제로 인해 의사소통이 곤란하고 학습활동에 특별한 지원을 요구하는 아동은 다음과 같은 행동들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행동을 나타내는 아동은 일단 언어에 문제를 지닌 것으로 의심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⑴ 말소리가 분명하지 않아 자꾸 되묻게 되는 일이 많다.
⑵ 말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빨라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⑶ 말소리, 음절 등을 비정상적으로 반복하거나 연장하여 듣기가 거북하다.
⑷ 말소리의 질과 음의 높낮이, 음의 강도가 적절하지 않아 듣기에 거북하다.
⑸ 말을 하는데 힘을 너무 들이거나 말의 리듬이나 강세가 적절하지 않다.
출처: 정동영, 김형일, 정동일(2001).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사 연구. 국립 특수교육원, 177.
2. 언어장애의 진단방법
1) 언어장애의 선별
언어 장애에 관한 선별을 살펴보면 특수교육진흥법시행령에 의하면 언어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를 조음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 기호장애등으로 인하여 의사소통이 곤란하고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자(특수교육대상자의진단·평가·심사및선정의기준[제9조제2항관련],)로 구분하고 있다.
한편, 장애인 복지법시행령에서는 언어장애인(言語障碍人)을 음성 기능 또는 언어 기능에 영속적으로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장애인의종류및기준[제2조관련])으로 구분하였다.
언어장애의 진단방법은 다음과 같다. 언어장애를 지닌 것으로 의심되어 선별된 아동의 건강기록부와 생활기록부 및 장애인 등록증 등을 검토하여 장애와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고, 언어장애 아동 종합검사를 적용하여 진단을 실시하고 분류기준별로 분류한다.
2) 언어장애의 진단평가
언어장애 아동의 정확한 판별이 이루어져야 개별화 프로그램등과 같은 교육 도는 치료 계획이 가능하다 언어장애 아동을 판별하기위한 검사도구로는 어음 변별력, 어음 명료도, 문자 이해도, 어휘 이해력 검사등이 있다.
① 어음 청력 검사
② 한국어 발음 검사
③ 그림 어휘력 검사
④ 문장 이해력 검사와 언어이해, 인지력 검사
⑤ 한국표준 어음 검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