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홍중닷컴

HOME Contact... 조홍중 소개특수교육의 소개장애논문 소개용어설명게시판

장애일반
시각장애
청각/언어장애
지체장애
건강장애
지적장애
발달장애
학습장애
교육학일반
img3.gif

 
작성일 : 03-04-17 14:30
1. 의학적 모델(medical model)
 글쓴이 : 조홍중
조회 : 12,479   추천 : 796  
1. 의학적 모델(medical model)

  특수교육 방법과 전략에 영향을 미쳐온 이론적 모형은 의학적모형, 발달모형, 행동주의모형, 인지모형, 인본주의모형, 생태학적모형이 있다.

  의학적 모델(medical model)은 학습의 문제가 기질적 장애나 질환에 기인한다는 설에 뿌리를 두고 있다(Mahoney, 1980; Weckowicz, 1984). 이 모형은 질환이나 기질적인 부전이 학습의 문제와 이탈 행동의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원인이란 질환상태의 원인을 의미한다. 이 모형은 신경학적 부전 생물학적 오차, 유전요인을 장애의 일차적 원인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환경요인(특히 이 요인이 생물학적 체계에 영향을 미칠때)도 학습문제의 원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의학적 모형을 채택하는 사람들은 특수교육요구아동에게 적절한 교육 및 보호 방법을 택하고자 하는 경우 의료인과 교육자가 정기적으로 협의를 해야 한다고 한다.

  의학적인 모형을 택하는 사람들은 교육적 중재에 앞서 신체적, 신경학적, 또는 생물학적 장애를 종합진단해야 한다고 하며, 이러한 모형을 적용하는 사람들은 흔히 신체상태, 장애조건, 처치의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뇌병리학이나 생리적 기능부전에서 온 개념들을 사용한다.

  기초가 되는 생물학적 문제가 판별되면 이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처방된다. 최초의 의학적 진단으로부터 얻은 정보는 교육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의학적 모형은 과정훈련법(process training models)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과정훈련법은 감각자극과 지각구성을 적절히 하도록 하는 교수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생물학적-심리학적 배경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을 결정하기 전에 적절한 의학적 진단이나 신경학적 평가를 해야 한다고 한다.

  의학적 모형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이 있다. Mahoney(1980)는 그중 4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대다수의 학습장애는 생물학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할 수 없다. 환경 및 가족 변인이 학습장애의 1차적인 원인이 된다는 증거가 있다. 많은 장애 조건은 환경과 생물학적 체계의 상호작용으로 설명 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을 장애인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그러한 생각은 특수교육요구아동의 품위를 떨어뜨리며, 유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도 도움을 주지 못한다.

  셋째, 장애나 학습문제를 가진 대다수의 아동은 지속적인 의료를 요하지 않는다.

  넷째,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모형에 기초를 두고 있는 방법들은 교육목표를 성취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의학적인 모형에 대한 비판은 학습에 미치는 생물학적 및  환경적 영향을 계산에 넣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생물학적 및 환경적 요인이 학습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있기 때문에 이상과 같은 비판은 잘 못된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으로서 교육의 중재에 앞서 신체적, 신경학적 또는 생물학적 장애를 종합 진단하고, 그 결과로 얻은 정보를 가지고 교육방법을 결정해야 한다고 하며, 이렇게 하기 위해서 교육자는 정기적으로 의료인과 협의를 해야 한다고 한다.


  출처: 김승국(2001). 특수교육학, 양서원, p.152.   
          김승국(1996). 특수교육 방법 및 전략, 도서출판 특수교육, 12-14.

 
용어설명
  기질적(器質的): 해부학적으로 증명될 만한 조직의 변화가 있을 때 기질적으로 질병에 걸렸다고 말한다. 이것에 비하여 해부학적으로 병변이 없고 단지 기관의 운동에만 고장이 있을 때는 기능적으로 변화가 있다고 한다.

 
 

Total 11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0 특수교육(special education) 조홍중 04-24 11730 680
69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홍중 04-24 11582 727
68 6. 생태학적 모형(ecological model) 조홍중 04-17 12237 739
67 5. 인본주의 모형(humanistic model) 조홍중 04-17 11344 728
66 4. 인지모형(cognitive model) 조홍중 04-17 12680 816
65 3. 행동주의 모형(behaviourist model) 조홍중 04-17 13948 779
64 2. 발달모형(developmental model) 조홍중 04-17 12175 805
63 1. 의학적 모델(medical model) 조홍중 04-17 12480 796
62 장애인의 실태 조홍중 04-09 10598 735
61 제7차 특수 학교 교육 과정 조홍중 04-07 12466 702
60 자원봉사자 운영계획(한국우진학교) 조홍중 04-03 11133 698
59 특수학교 주소(136) 조홍중 03-24 13564 698
58 특수교육의 정의 조홍중 03-19 11385 635
57 WHO의 장애 분류 조홍중 03-19 12763 715
56 장애등급표 조홍중 03-19 11648 624
 1  2  3  4  5  6  7  8  

Copyright(c) Cho Hong Joong All rights reserved.
Comments & Questions
hongjoong-cho@hanmail.net , develop20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