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한국 전체 학생 수
최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기회 확대 및 지원 서비스 강화로 특수교육 대상자로 등록하는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7년 4월 1일 현재 한국의 특수교육은 19,327명의 교원(보조인력 11,170명)이 총89,353명의 장애학생을 173개 특수학교(4,615 학급)와 7,799개의 특수학급, 7,622개의 일반학급에서 교육을 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자 중 70.7%에 해당되는 63,154명은 통합교육, 즉, 일반학교(일반학급 15,590명, 특수학급 47,564명)에 배치되어 있으며, 나머지 29.3%(26,199)의 학생은 분리교육의 형태로 특수학교에 25,798명, 특수교육지원센터에 401명의 학생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순회교육 대상자는 전체 특수교육 대상자의 5.0%, 4,458명이다(2017b).
출처: 교육부(2017a). 2017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p. 3.
▣ 2016년 한국 전체 학생 수
2016년 4월 1일 현재 한국의 특수교육은 18,772명의 교원(보조인력 11,260명)이 총87,950명의 장애학생을 170개 특수학교(4,550 학급)와 10,065개의 특수학급, 14,482개의 일반학급에서 교육을 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자 중 70.5%에 해당되는 61,989명은 통합교육, 즉, 일반학교(일반학급 15,344명, 특수학급 46,645명)에 배치되어 있으며, 나머지 29.5%(25,961)의 학생은 분리교육의 형태로 특수학교에 25467명, 특수교육지원센터에 494명의 학생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순회교육 대상자는 전체 특수교육 대상자의 5.3%, 4,676명이다.
특수교육지원센터 배치 장애영아는 2016년 4월 현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내 설치 장애영아 학급 수는 60학급이며, 장애영아 수는 494명이다. 연령별로 1세 미만 20명, 1세 116명, 2세 358명이며, 교육유형별로 센터지원 영아 수는 371명, 순회지원 영아 수는 123명이다(2016b)
출처: 교육부(2016). 2016 특수교육통계.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