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03-08-29 23:40
글쓴이 :
조홍중 (210.♡.211.239)
 조회 : 7,979  추천 : 437
|
3. 삼국시대의 교육
삼국시대의 교육의 목적은 인재양성과 무인양성에 있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교육방법으로는 암기식(당(唐)의 유교중심의 교육을 모방)과 화랑도 교육이 중심을 이루었다. 삼국시대의 교육의 특징은 경전에 의한 문자교육이 시작되었고, 유교중심의 중국식(唐)교육을 모방하였다.
고구려에서는 372년에 귀족자제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관학인 태학은 관리양성을 목적으로 행해졌다. 여기에서는 오경(五經-詩經, 書痙, 周易, 禮記, 春秋), 삼사(三史-史記, 漢書, 後漢書), 삼국지(三國志), 진춘추(晋春秋), 옥편(玉篇), 자통(字統), 자림(字林). 문선(文選) 등을 가르쳤다.
백제는 학교설립의 직접적인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285년에 왕인(王仁)이 천자문(千字文)과 논어(論語)를 일본에 전했다.
신라의 교육은 통일 이전에는 왕족이나 14세~16세의 귀족자제를 대상으로 한 화랑도를 양성하였다. 화랑도는 문무를 겸비한 인물양성(전인교육)이 목적이었으며, 교육의 방법은 실생활을 통한 교육(시가, 음악, 가무, 군사적, 신체적 연마, 명산과 고적지 답사)이 실시되었으며, 교육내용은 세속오계(世俗五戒 : 君臣以忠, 事親以孝, 交友以信, 臨戰無退, 殺生有擇)를 가르쳤으며, 국가 유사시에는 용사로서 출전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