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03-09-09 04:12
글쓴이 :
조홍중 (210.♡.211.181)
 조회 : 9,216  추천 : 566
|
정신지체아의 방어기제
① 아동과 심한 정서 장애아들은 거부, 즉 부정을 많이 사용한다. 억압과 거부는 소망 혹은 사고의 표현을 차단하는 것이다.
② ‘프로이드’는 억압을 일차적인 자아 방어라고 했다. 왜냐하면 불안을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회피하기 때문이다.
③ 억압은 신경증적 행동, 정신 신체장애(위궤양)에, 성심리적 장애(불감증, 임포턴스)의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
④ 정신지체아의 성격
정신지체아는 성격 구조의 분화도가 낮고 굳어져 있기 때문에 고집이 세고 융통성이 적고 새로운 사태에의 적응이 곤란하다.
내적 갈등 상태(억압 등)에 머물지 못하기 때문에 대외적으로 강한 감정 또는 완고한 성격 경향을 가지고 있어 참을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심한 부정적 자아 개념을 갖는다.
협소하고 편협한 생각, 무기력, 반항, 공격성, 신경증적 행동, 지각의 미분화 등이 있다.
정신지체는 평균 이하의 지적 기능과 더불어 적응행동에서 나타나는 결함이다.
⑤ 프로이드 학파의 견해
정신적 지체에 대한 프로이드 학파의 해석은 지체 아동의 자아 개념이 결핍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들의 근심을 줄이기 위해 억압이나 부정같은 매우 원시적인 방어 메카니즘에 의존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한경호(2003). 교육학 핵심 이론, 북스텍, p.15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