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03-04-17 14:47
3. 행동주의 모형(behaviourist model)
|
|
글쓴이 :
조홍중
 조회 : 13,948  추천 : 779
|
3. 행동주의 모형(behaviourist model)
특수교육 방법과 전략에 영향을 미쳐온 이론적 모형은 의학적모형, 발달모형, 행동주의모형, 인지모형, 인본주의모형, 생태학적모형이 있다.
행동주의 모형(behaviourist model)은 행동분석(analysis of behaviour)이 가치있는 특수교육방법의 기초가 된다는 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모형은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추며,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행동주의 모형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는 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환경을 조작한다. 바람직한 성과를 얻기 위해서 선행사건(특정 행동에 앞서는 사건)과 후속사건(행동 이후에 나타나는 사건)을 조작해야 한다. 선행사건(antecedent events)은 아동이 나타내 보이는 특정 행동에 앞서는 사건으로서, 그 행동의 출현을 촉구하는 사건이다.
후속사건(consequent events)은 행동이후에 나타나는 사건으로서 그 행동이 지속되게 하는 사건이다. 이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 되는 것은 아동의 행동을 도표로 만들어 기록하는 것이다.
행동주의 모형은 특수교육요구아동을 부적절한 행동 목록을 가진 아동으로 본다. 여기서 말하는 부적절한 행동이란 과도하거나(정서장애 아동의 소리치는 행동과 같이), 결함이 있는 (읽을 때 ㅁ과 ㅂ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과 같이) 행동을 의미한다.
행동주의 모형을 택하는 교사들은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획득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선행사건이나 후속 사건을 조작하게 된다.
행동주의 모형은 특수교육에서 사용되는 많은 방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행동주의 이론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행동통제의 원리를 적용하고 있는 방법들은 자극통제법, 우발성관리법, 정밀수업(precision teaching), 완전학습, 직접교수, 컴퓨터 보조수업 등이다. 이들 각 방법은 행동반응의 통제에 선행자극과 후속자극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자극 통제(stimulus control) 법은 개인에게 반응하도록 촉구하거나 단서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자극인 선행자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동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적당한 단서와 촉진자극을 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우발성관리(contingency management)법은 바람직한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 강화(후속자극)를 사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이다.
정밀교수는 학습의 진전을 감시(monitor)하기 위해서 행동을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도표화하는데 관심을 둔다.
완전학습(mastery learning)은 행동주의 모형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다. 완전학습의 경우 수업은 아동이 세분된 단계 중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전에 전 단계를 완전히 학습할 수 있게 구조화된다.
직접교수(direct instruction)는 행동주의 모형과 자극통제법을 확장 및 정교화 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조직이 잘된 수업을 강조한다.
컴퓨터보조수업(computer-assisted instruction)은 아동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하여 자극사건(스크린 상의 자극)을 사용하며, 정확한 희귀(아동에게 맞았을 때와 틀렸을 때를 일러주기)가 이루워지게 한다.
행동주의 이론은 일반교육에서 많은 사람들로 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비판자들은 이를 지나치게 기계적이라 하며, 이 모형을 택하게 되면 특수교육요구아동이 로버트 취급을 받게 된다고 한다. 그들은 특수교육요구아동이 조작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과 그러한 아동도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는 개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인지심리학자들은 행동주의 모형을 비판하면서 이 모형은 학습자의 정보처리 능력과 기억 같은 내적 상태가 학습과정에서 작용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게 한다고 한다. 그리고 행동주의 이론은 인지결함과 언어학습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들은 약간 지나친 편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행동주의는 인간 행동의 일차원 모형이 아니다. 그것이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은 행동주의 모형의 장점이다. 이 방법은 일반교육에서는 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특수교육에서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출처: 김승국(2001). 특수교육학, 양서원, p.152.
김승국(1996). 특수교육 방법 및 전략, 도서출판 특수교육, 16-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