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홍중닷컴

HOME Contact... 조홍중 소개특수교육의 소개장애논문 소개용어설명게시판

Hot News
Q & A
Seminar

img11.gif


 
작성일 : 03-02-03 19:48
델파이 기법(the Delphi technique)
 글쓴이 : 조홍중 (210.♡.211.197)
조회 : 21,151   추천 : 924  
델파이 기법(the Delphi technique)

  델파이 기법은 특정한 관심사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체계적으로 하고 집계하는 절차이다. 델파이 기법은 세심하게 짜여진 몇 단계의 설문을 사용한다. 제1차에 사용한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재확인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이렇게 일련의 설문에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 판정자가 결정을 내린다.

  집단의 판단을 체계적으로 유도해 내서 정리하기 위한 이 기법은 3가지 특색이 있다. 즉, ① 설문에 대한 응답을 무기명으로 하고, ② 되풀이(반복) 또는 통제된 환류(controlled feedback)를 정보 수집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제공하고, ③ 집단의 반응을 통계분석해서 집약 할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은 5단계에 걸쳐 설문지를 작성한다.
  제1단계 주요 관심사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한다.
  제2단계 설문지를 심사 위원들에게 배부한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일 필요가 없고, 흔히 함께 모이지 않는 편이 좋을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우편으로 설문을 보내어 응답하도록 할 수 있다. 
  제3단계 설문을 회수하면 합의 및 합의되지 않는 분야를 파악하기 위해서 집계를 한다.
  제4단계 합의되지 않는 부분이 나타나면, 첫 번째 판단을 내린 데 대한 전문가들의 여러 가지 이유를 내포한 두 번째 설문지를 위원에게 배부한다. 
  제5단계 위와 같은 절차를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 

  델파이 기법은 광범위하고 장기적 정책을 세우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으로 교육 보건 도시문제 등에 관한 욕구를 파악하고 있다.
  이 기법으로 주민의 욕구 유형을 파악 할 수 있고, 사회문제에 대한 상이한 판단을 야기 하는 요인을 조사할 수 있고, 전문분야에 있는 유식한 사람들의 판단을 고찰 할 수 있으며, 응답지 또는 조사 대상자로 하여금 다양하고 상호 연관된 주민의 욕구들을 이해하도록 gf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은 적어도 3개의 집단을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첫째가 사용자 집단인데,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쓸모 있는 결과를 얻으려고 하는 개인 또는 개인들의 집단이고, 둘째가 설문지를 작성하고 응답결과를 요약하며, 추적을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는 설계 감독 팀이며, 끝으로 응답자들이다. 주의할 점은 이들 응답자들이 곧 조사결과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는 것이다.
  델파이 기법은 4가지 이점이 있다. 첫째로 참가자를 익명으로 할 수 있어 발언권이 세고 우세한 참가자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고, 둘째, feedback을 체계적으로 통제하기 때문에 개인의 이권행사로부터 오는 부정적 영향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셋째로 참가자으 이름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집단의 의견에 순종시키려는 집단의 압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넷째, 응답자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이 기법에는 불확실한 점이 내포되어 있다. 즉, ① 과연 응답자의 존재가 응답자 집단에서 완전히 익명으로 될 수 있을까? ② 반복되는 정보 또는 통제된 feedback을 같은 응답자에게 보내야 하는지 또는 서로 교환하는 독립된 여러 개인들에게 보내야 되는지? ③ 몇 번이나 반복을 해야 하는지? ④ 환류된 정보는 어떠한 형식을 갖추어야 하는지가 확실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응답자의 극단적인 판단은 합의를 얻기 위해서 제거되어 버린다. 따라서 여러 가지 창의적인 의견들이 손실 될 수가 있다.
  한 가지의 측정방법의 결점을 보완하고 보다 종합적이고 타당성과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측정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출처: 成圭鐸(1993), 사회복지행정론, 법문사, 163-164.

 
   
 


Copyright(c) Cho Hong Joong All rights reserved.
Comments & Questions
hongjoong-cho@hanmail.net , develop20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