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홍중닷컴

HOME Contact... 조홍중 소개특수교육의 소개장애논문 소개용어설명게시판

Hot News
Q & A
Seminar

img11.gif


 
작성일 : 06-06-23 10:23
▣ 장애 분류 및 등급
 글쓴이 : 조홍중 (168.♡.220.133)
조회 : 14,972   추천 : 762  
A.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0조 관련 별표)
                                                                               
1.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시각계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기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거나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을 받아야 시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시각에 의한 학습이 곤란하여 특정의 광학기구ㆍ학습매체 등을
통하여 학습하거나 촉각 또는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
------------------------------------------------------------------------------------------

2. 청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청력 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또는 곤란한 상태이거나, 청
력이 남아 있어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청각에 의한 교육적 성취가 어
려운 사람
------------------------------------------------------------------------------------------

3. 정신지체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상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하여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


4. 지체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기능ㆍ형태상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몸통을 지탱하거나 팔다리의 움직임 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체적
조건이나 상태로 인해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


5. 정서ㆍ행동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장기간에 걸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
  가. 지적ㆍ감각적ㆍ건강상의 이유로 설명할 수 없는 학습상의 어려움을 지닌 사람
  나. 또래나 교사와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
  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라. 전반적인 불행감이나 우울증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마. 학교나 개인 문제에 관련된 신체적인 통증이나 공포를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


6.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 및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
------------------------------------------------------------------------------------------

7. 의사소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
  가. 언어의 수용 및 표현 능력이 인지능력에 비하여 현저하게 부족한 사람
  나. 조음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다. 말 유창성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라. 기능적 음성장애가 있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
------------------------------------------------------------------------------------------

8.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개인의 내적 요인으로 인하여 듣기, 말하기, 주의집중, 지각(知覺), 기억, 문제 해결 등의 학습기능이
나 읽기, 쓰기, 수학 등 학업 성취 영역에서 현저하게 어려움이 있는 사람
------------------------------------------------------------------------------------------

9. 건강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만성질환으로 인하여 3개월 이상의 장기입원 또는 통원치료 등 계속적인 의료적 지원이 필요하여 학
교생활 및 학업 수행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

10. 발달지체를 보이는 특수교육대상자
------------------------------------------------------------------------------------------
  신체, 인지, 의사소통, 사회ㆍ정서, 적응행동 중 하나 이상의 발달이 또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지체되
어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영아 및 9세 미만의 아동
------------------------------------------------------------------------------------------


출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10조 관련 별표(제정 2008.5.26  대통령령 제20790호)







B. 특수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수교육 대상자(특수교육진흥법 제10조)


1.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가. 두 눈의 교정시력이 각각 0.04미만인 자
나. 시력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에 의하여 학습과제를 수행할 수 없고, 촉각이나 청각을 학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하는 자
다. 두 눈의 교정시력은 각각 0.04이상이나 특정의 학습매체 또는 과제의 수정을 통하여서도 시각적
    과제수행이 어려운 자
라. 특정의 광학기구·학습매체 또는 설비를 통하여서만 시각적 과제수행을 할 수 있는 자
-----------------------------------------------------------------------------------------

2. 청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가.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자
나. 청력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음성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자
다. 일상적인 언어생활과정에서 청각의 기능적 활용이 불가능하여 일반인과 함께 교육받기가 곤란
    한 자
-----------------------------------------------------------------------------------------

3. 정신지체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지능검사 결과 지능지수가 75이하이며 적응행동에 결함을 지닌 자
-----------------------------------------------------------------------------------------

4. 지체부자유 특수교육대상자
-----------------------------------------------------------------------------------------
  지체의 기능·형태상 장애를 지니고 있고, 체간의 지지 또는 손발의 운동·동작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하
여 일반적인 교육시설을 이용한 학습이 곤란한 자
-----------------------------------------------------------------------------------------

5. 정서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가. 지적·신체적 또는 지각적인 면에 이상이 없음에도 학습성적이 극히 부진한 자
나. 친구나 교사들과의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문제를 지니는 자
다.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자
라. 늘 불안해하고 우울한 기분으로 생활하는 자
마. 학교나 개인문제에 관련된 정서적인 장애로 인하여 신체적인 통증이나 공포를 느끼는 자
바. 감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언어·인지능력 또는 대인관계에 결함이 있는 자
-----------------------------------------------------------------------------------------

6. 언어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조음장애·유창성장애·음성장애·기호장애 등으로 인하여 의사소통이 곤란하고, 학습에 어려움이 있
는 자
-----------------------------------------------------------------------------------------

7. 학습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셈하기·말하기·읽기·쓰기 등 특정한 분야에서 학습상 장애를 지니는 자
-----------------------------------------------------------------------------------------

8. 건강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
  심장장애, 심신장애, 간장애 등 만성질환으로 인한 장애
  (특수교육진흥법 제10조 제8항 개정 2005.3.24. 개정)
-----------------------------------------------------------------------------------------
                                                      출처 :  특수교육진흥법 제10조 제8항 개정 2005.3.24. 개정.





C.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분류(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 관련 [별표 1] 장애인의 종류 및 기준)
-----------------------------------------------------------------------------------------
1. 지체장애인(肢體障碍人)
-----------------------------------------------------------------------------------------
가. 한 팔, 한 다리 또는 몸통의 기능에 영속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
나.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지골관절(指骨關節)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또는 한 손의  둘째 손가락
    을 포함한 2 이상의 손가락을 모두 제1지골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다. 한 다리를 리스프랑(Lisfranc) 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라.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잃은 사람
마.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또는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한 2 이상의 손가락의 기
    능을 잃은 사람
바. 왜소증으로 인하여 키가 심하게 작거나 척추에 현저한 변형 또는 기형이 있는 사람
사. 지체(肢體)에 위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장애정도 이상의 장애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
2. 뇌병변장애인(腦病變障碍人)
-----------------------------------------------------------------------------------------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腦卒中) 등 뇌의 기질적 병변에 기인한 신체적 장애로 보행 또는
일상 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
3. 시각장애인(視覺障碍人)
-----------------------------------------------------------------------------------------
가. 나쁜 눈의 시력(만국식시력표에 따라 측정된 교정시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0.02 이하인 사람
나.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사람
다.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10도 이하로 남은 사람
라. 두 눈의 시야의 2분의 1 이상을 잃은 사람
-----------------------------------------------------------------------------------------
4. 청각장애인(聽覺障碍人)
-----------------------------------------------------------------------------------------
가.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사람
나. 한 귀의 청력 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데시벨(㏈) 이상인 사람
다.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사람
라. 평형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5. 언어장애인(言語障碍人)
  음성 기능 또는 언어 기능에 영속적으로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
6. 정신지체인(精神遲滯人)
-----------------------------------------------------------------------------------------
  정신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
하는 것과 사회생활에의 적응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
7. 발달장애인(發達障碍人)
-----------------------------------------------------------------------------------------
  소아기 자폐증, 비형적 자폐증에 의한 언어, 신체표현, 자기조절, 사회적응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
8. 정신장애인(精神障碍人)
-----------------------------------------------------------------------------------------
  지속적인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情動障碍), 양극성 정동장애 및 반복성 우울장애에 의한 감
정조절, 행동, 사고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
한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
9. 신장장애인(腎臟障碍人)
-----------------------------------------------------------------------------------------
  신장의 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지속적으로 받아야 하거나, 신장 기능의 영
속적인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
10. 심장장애인(心臟障碍人)
-----------------------------------------------------------------------------------------
  심장의 기능 부전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
는 사람
-----------------------------------------------------------------------------------------
11. 호흡기장애인(呼吸器障碍人)
 -----------------------------------------------------------------------------------------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 기능부전으로 인한 호흡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
12. 간장애인(肝障碍人)
 -----------------------------------------------------------------------------------------
 간의 만성적 기능부전과 그에 따른 합병증 등으로 인한 간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
13. 안면장애인(顔面障碍人)
-----------------------------------------------------------------------------------------
  안면부위의 변형 또는 기형으로 인하여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
14. 장루요루장애인(腸瘻,尿瘻障碍人)
 -----------------------------------------------------------------------------------------
  배변기능 또는 배뇨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장루(腸瘻) 또는 요루(尿瘻)를 시술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
-----------------------------------------------------------------------------------------
15. 간질장애인(癎疾障碍人)
-----------------------------------------------------------------------------------------
  간질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
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
              출처 :  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 관련 [별표 1] 장애인의 종류 및 기준<개정 2003.5.1>




D.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일부개정 2006.7.3 보건복지부령 제363호]
    [별표 1] 장애인의 장애등급표(제2조제1항관련)<개정 2001.6.30, 2003.6.13>
--------------------------------------------------------------------------------------
1. 지체장애인
--------------------------------------------------------------------------------------
가. 신체의 일부를 잃은 사람
제1급
  1. 두 팔을 손목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2. 두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제2급
  1. 두 손의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2. 한 팔을 팔꿈치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3. 두 다리를 발목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제3급
  1.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2.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을 잃은 사람
  3. 두 다리를 쇼파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4. 한 다리를 무릎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제4급
  1. 두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2.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을 잃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세 손가락을 잃은 사람
  4. 두 다리를 리스프랑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5. 한 다리를 발목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제5급
  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
  2.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중수수지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3.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세 손가락을 잃은 사람
  4.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잃은 사람
  5. 한 다리를 쇼파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제6급
  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잃은 사람
  2.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을 잃은 사람
  3. 한 손의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을 모두 잃은 사람
  4. 한 다리를 리스프랑관절 이상 부위에서 잃은 사람
나. 관절장애가 있는 사람
제 4급
  1.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또는 손목관절 중 한 관절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2. 한 다리의 고관절(股關節) 또는 무릎관절의 기능을 잃은 사람
제5급
  1. 한 다리의 고관절 또는 무릎관절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2. 한 다리의 발목관절의 기능을 잃은 사람
제6급
  1.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또는 손목관절 중 한 관절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2. 한 다리의 고관절 또는 무릎관절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3. 한 다리의 발목관절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다. 지체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제1급
  1. 두 팔의 기능을 잃은 사람
  2. 두 다리의 기능을 잃은 사람
제2급
  1. 한 팔의 기능을 잃은 사람
  2. 두 팔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3. 두 손의 모든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4. 두 다리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5. 척추의 장애로 인하여 앉아 있을 수 없거나 자기 힘으로 일어서기가 곤란한 사람
제3급
  1. 두 팔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2. 두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3. 한 손의 모든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4. 한 팔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5. 한 다리의 기능을 잃은 사람
제 4급
  1. 두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2.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세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4. 한 손의 엄지손가락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네 손가락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5. 한 다리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제5급
  1. 한 팔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2. 두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4.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5. 한 손의 엄지손가락 또는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세 손가락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6. 한 다리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
  7.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8. 척추에 고도의 장애가 있는 사람
제6급
  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2.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3.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두 손가락의 기능에 현저한 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한 손의 셋째손가락, 넷째손가락, 다섯째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5. 척추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라. 신체에 변형등의 장애가 있는 사람
제5급
  한 다리가 건강한 다리보다 10센티미터이상 또는 건강한 다리의 길이의 10분의 1이상 짧은 사람
제6급
  1. 한 다리가 건강한 다리보다 5센티미터이상 또는 건강한 다리의 길이의 15분의 1이상 짧은 사람
  2. 척추측만증이 있으며, 만곡각도가 40도이상인 사람
  3. 척추후만증이 있으며, 만곡각도가 60도이상인 사람
  4. 성장이 멈춘 20세이상의 남성으로서 신장이 145센티미터이하인 사람
    (다만, 왜소증의 증상이 뚜렷한 경우는 18세이상에서 적용 가능)
  5. 성장이 멈춘 18세이상의 여성으로서 신장이 140센티미터이하인 사람
--------------------------------------------------------------------------------------
2. 뇌병변장애인
--------------------------------------------------------------------------------------
제1급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일상생활동작을 거의 할 수 없어, 도움과 보호가 필요한 사람
제2급
  1. 보행이 현저하게 제한되었거나 또는 일상생활동작이 현저하게 제한된 사람
  2. 보행과 일상생활동작이 상당히 제한된 사람
제3급
  1. 보행이 상당한 정도 제한되었거나 또는 일상생활동작이 상당히 제한된 사람
  2. 보행이 경중한 정도 제한되고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현저하게 제한된 사람
제4급
  1.보행이 경중한 정도 제한되었거나 또는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현저하게 제한된 사람
  2. 보행이 경미하게 제한되고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상당히 제한된 사람
제5급
  1. 보행이 경미하게 제한되었거나 또는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상당히 제한된 사람
  2. 보행이 파행을 보이고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경중한 정도 제한된 사람
제6급
  보행시 파행을 보이거나 섬세한 일상생활동작이 경중한 정도 제한된 사람
--------------------------------------------------------------------------------------
3. 시각장애인
--------------------------------------------------------------------------------------
제1급
  좋은 눈의 시력(만국식 시력표에 의하여 측정한 것을 말하며, 굴절이상이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교정시력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0.02이하인 사람
제2급
  좋은 눈의 시력이 0.04이하인 사람
제3급
  1. 좋은 눈의 시력이 0.08이하인 사람
  2.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5도이하로 남은 사람
제4급
  1. 좋은 눈의 시력이 0.1이하인 사람
  2.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10도이하로 남은 사람
제5급
  1. 좋은 눈의 시력이 0.2이하인 사람
  2. 두 눈의 의한 시야의 2분의 1이상을 잃은 사람
제6급
  나쁜 눈의 시력이 0.02이하인 사람
--------------------------------------------------------------------------------------
4. 청각장애인
--------------------------------------------------------------------------------------
가. 청력이 손실된 사람
제2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90데시벨이상인 사람(두 귀가 완전히 들리지 아니하는 사람)
제3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데시벨이상인 사람(귀에 입을 대고 큰 소리로  말을 하여도 듣지 못하는 사람)
제4급
  1.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70데시벨이상인 사람(귀에 대고 말을 하여야 들을 수 있는 사람)
  2.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최량의 명료도가 50퍼센트이하인 사람
제5급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이상인 사람(40센티미터이상 거리에서 발성된 말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제6급
  한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80데시벨이상,  다른 귀의 청력손실이 40데시벨 이상인 사람
나. 평형기능의 장애가 있는 사람
제3급
  양층 평형기능의 소실로 두 눈을 뜨고 직선으로 10미터이상을 지속적으로 걸을 수 없는 사람
제4급
  양층 평형기능의 소실 또는 감소로 두 눈을 뜨고 10미터를 걸으려면 중간에 균형을 잡으려 멈추어야 하는 사람
제5급
  양층 평형기능의 감소로 두 눈을 뜨고 10미터 거리를 직선으로 걸을 때 중앙에서 60센티미터이상 벗어나며 복합적인 신체운동은 어려운 사람
--------------------------------------------------------------------------------------
5. 언어장애인
--------------------------------------------------------------------------------------
제3급
  음성기능 또는 언어기능을 잃은 사람
제4급                                                                 
  음성·언어만으로는 의사소통을 하기 곤란할 정도로 음성 또는 언어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사람 
--------------------------------------------------------------------------------------
6. 정신지체인
--------------------------------------------------------------------------------------
제1급
  지능지수 34이하인 사람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적응이 현저하게 곤란하여 일생동안 타인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
제2급
  지능지수가 35이상 49이하인 사람으로 일상생활의 단순한 행동을 훈련시킬 수 있고, 어느 정도의 감독과 도움을 받으면 복잡하지 아니하고 특수기술을 요하지 아니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사람
제3급
  지능지수 50이상 70이하인 사람으로 교육을 통한 사회적·직업적 재활이 가능한 사람
--------------------------------------------------------------------------------------
7. 발달장애(자폐증)인
--------------------------------------------------------------------------------------
제1급
  ICD-10(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Version)의 진단기준에 의한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 하고, 지능지수가 70이하이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전적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제2급
  ICD-10의 진단기준에 의한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지능지수가 70이하이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3급
  제2급과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지능지수가 71이상이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
8. 정신장애인
--------------------------------------------------------------------------------------
제1급
  1. 정신분열병으로 망상·환청·사고장애 및 기괴한 행동등의 양성증상 또는 사회적 위축과 같은 음성증상이 심하고, 현저한 인격변화가 있으며,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전적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정신병을 진단받은지 1년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이하 같다)
  2. 양극성정동장애(조울병)로 기분·의욕·행동 및 사고장애 증상이 심한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전적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3. 반복성우울장애로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되고, 기분·의욕 및 행동등에 대한 우울증상이 심한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전적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4. 분열형정동장애로 제1호 내지 제3호에 준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제2급
  1. 정신분열병으로 망상·환청·사고장애 및 기괴한 행동등의 양성증상 및 사회적 위축등의 음성증상이 있고, 중등도의 인격변화가 있으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2. 양극성정동장애(조울병)로 기분·의욕 및 행동 및 사고장애 증상이 있는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3. 만성적인 반복성우울장애로 망상등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되고, 기분·의욕 및 행동등에 대한 우울증상이 있는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위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4. 만성적인 분열형정동장애로 제1호 내지 제3호에 준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제3급
  1. 정신분열병으로 망상·환청·사고장애 및 기괴한 행동등의 양성증상이 있으나, 인격변화나 퇴행은 심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능수행에 제한을 받아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2. 양극성정동장애(조울병)로 기분·의욕·행동 및 사고장애 증상이 현저하지 아니하지만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능수행에 제한을 받아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3. 반복성우울장애로 기분·의욕·행동등에 대한 우울증상이 있는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능수행에 제한을 받아 간헐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4. 분열형정동장애로 제1호 내지 제3호에 준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
9. 신장장애인
--------------------------------------------------------------------------------------
제2급
  만성신부전증으로 인하여 1개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제5급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
--------------------------------------------------------------------------------------
10. 심장장애인
--------------------------------------------------------------------------------------
제1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안정시에도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증상 등이 일어나서 운동능력을 완전히 상실하여 상시적으로 개호인이 필요한 사람(심장질환을 진단받은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의 한한다. 이하 같다)
제2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신체주위의 일은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활동으로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증상 등이 일어나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3급
  심장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가정내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상관없지만 그 이상의 활동에는 심부전증상 또는 협심증증상 등이 일어나서 가벼운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람
제5급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
11. 호흡기장애인
--------------------------------------------------------------------------------------
제1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안정시에도 산소요법을 받아야 할 정도의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에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 호기량)이 정상예측지의 25% 이하이거나 안정시의 자연호흡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55mmHg 이하인 사람
제2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집안에서의 이동시에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호기량)이 정상예측지의 3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호흡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0mmHg 이하인 사람
제3급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인 기능부전으로 평지에서의 보행에도 호흡곤란이 있고, 평상시의 폐환기 기능(1초시 강제호기량)이 정상예측치의 40% 이하이거나 안정시 자연호흡상태에서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mHg 이하인 사람
--------------------------------------------------------------------------------------
12. 간장애인
--------------------------------------------------------------------------------------
제1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Pugh 평가상 등급 C이면서 만성 간성뇌증, 내과적 치료로 조절되지 아니하는 난치성 복수 등의 합병증이 있는 사람
제2급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 평가상 Child-Pugh 등급 C이면서 간성뇌증 병력,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등 병력이 있는 사람
제3급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진단받은 환자중 잔여 간기능이 Child-Pugh 평가상 등급 C인 사람
제5급
  만성 간질환(간경변증, 간세포암종 등)으로 간이식을 시술받은 사람
--------------------------------------------------------------------------------------
13. 안면장애인
--------------------------------------------------------------------------------------
제2급
  1. 노출된 안면부의 90%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
  2. 노출된 안면부의 60% 이상의 변형이 있고 코 형태의 2/3 이상이 없어진 사람
제3급
  1. 노출된 안면부의 75%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
  2. 노출된 안면부의 50% 이상의 변형이 있고 코 형태의 2/3 이상이 없어진 사람
제4급
  1. 노출된 안면부의 60% 이상의 변형이 있는 사람
  2. 코 형태의 2/3 이상이 없어진 사람
--------------------------------------------------------------------------------------
14. 장루·요루장애인
--------------------------------------------------------------------------------------
제2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이상의 장루("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2. 고도의 배뇨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회장·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腸)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제3급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2.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회장·상행 또는 횡행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대부분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4급
  1. 요루를 가진 사람
  2. 회장루·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3.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보조용품을 1일 1회 이상 교체하거나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결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에서 장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하여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제5급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
15.  간질장애인
--------------------------------------------------------------------------------------
제2급
  만성적인 간질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월 8회 이상을 포함하여 연 6월 이상 중증발작이 있고, 발작시 유발된 호흡장애, 흡인성 폐렴, 심한 탈진, 두통, 구역, 인지기능의 장애 등으로 심각한 요양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 항상 타인의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사람
제3급
  만성적인 간질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월 5회 이상 중증 발작 또는 월 10회 이상 경증발작을 포함하연 연 6월 이상 발작이 있고, 발작시 유발된 호흡장애, 흡인성 폐렴, 심한 탈진, 두통, 구역, 인지기능의 장애 등으로 요양관리가 필요하며,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 수시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사람
제4급
  만성적인 간질에 대한 적극적인치료에도 불구하고 월 1회 이상 중증발작 또는 월 2회 이상 경증발작을 포함하여 연 6월 이상의 발작이 있고, 이로 인하여 협조적인 대인관계가 현저히 곤란한 사람
--------------------------------------------------------------------------------------
16. 중복된 장애의 합산 판정
--------------------------------------------------------------------------------------
가. 같은 등급에 2 이상의 중복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1등급 위의 급으로 한다.
나. 서로 다른 등급에 2 이상의 중복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의 전문의가 장애의 정도를 감안하여 당해 주된 장애등급보다 1등급 위의 등급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가목 및 나목의 규정에 불구하고 중복장애로 합산 판정할 수 없다.
  (1)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가 중복된 경우
  (2) 정신지체장애와 발달장애가 중복된 경우
  (3) 기타 장애부위가 동일하거나 장애성격이 중복되어 중복장애로 합산 판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경우
--------------------------------------------------------------------------------------

출처: 법제처 http://www.moleg.go.kr



E. 추정 장애학생 대비 특수교육 수혜율
-----------------------------------------------------------------------------------------
과정별 학령인구수/장애학생/특수교육대상자/특수학교/특수학급/일반학급(합계)/특수교육수혜율
                                                                                                              (장교연/교육부)
-----------------------------------------------------------------------------------------
유  치 원  1,722,295    26,523      10,264      1,188        475      1,394      (3,057)        11.5/29.8
초등학교  4,017,603    108,877    42,135      8,699    20,698      1,667    (31,064)        28.5/73.7
중  학 교  2,063,876    44,786      21,645      6,160      5,685        648    (12,493)        27.9/57.7
고등학교  1,839,810    49,859      19,296      7,402      2,945      1,401    (11,748)        23.6/60.9
-----------------------------------------------------------------------------------------
합    계    9,643,584    230,045    93,339    23,449    29,803      5,110    (58,362)      25.4/62.5
-----------------------------------------------------------------------------------------
                                              출처 :  교육인적자원부 2005년 특수교육실태조사서 내용 재구성





E.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한 추정 장애인수 비교 (단위: %, 천명)
--------------------------------------------------------------------------------------
구분            2000년 실태조사          등록 장애인수          등록률      2005년 실태조사     
--------------------------------------------------------------------------------------
지체장애        605,127명                    923,183                91.8            1,005,618
뇌병변장애      223,246명                    154,614                57.1              270,853
시각장애        181,881명                    180,526                81.6              221,166
청각장애        148,707명                    151,184                66.0              229,159
언어장애          26,871명                      13,874                66.2                20,947
정신지체        108,678명                    123,868                98.7              125,563
발달장애          13,481명                        8,754                37.3                23,478
정신장애          71,797명                      59,223                64.9                91,253
신장장애          25,284명                      40,288                99.8                40,355
심장장애          44,424명                      12,226                29.1                42,007
호흡기장애          -                            10,815                35.8                30,186
간장애                -                              4,583                34.1                13,443
안면장애              -                              1,311                29.8                4,394
장루·요루장애      -                              8,848                  57.1              15,508
간질장애              -                              6,032                40.9                14,756
--------------------------------------------------------------------------------------
  계              1,449,496명                  1,669,329                77.7            2,148686
--------------------------------------------------------------------------------------
※ 본 자료에 제시된 장애인 복지시책에 대한 안내는 2006년도 기준임(조사기간 2005년 7월-9월)





F. 주요국의 장애인 출현율 (단위: %)
--------------------------------------------------------------------------------------
  구분        한국(2005)      일본(2000)      독일(2003)      미국(2000)      영국2004)     
--------------------------------------------------------------------------------------         
  출현율        4.59              4.7                  10.2              19.3              19.7
-------------------------------------------------------------------------------------- 
※ 본 자료에 제시된 장애인 복지시책에 대한 안내는 2006년도 기준임(조사기간 2005년 7월-9월)





G. 2005년 전국 지역별 장애인 가구 출현율 (단위: 가구, %)
-------------------------------------------------------------------------------------- 
  구분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         
-------------------------------------------------------------------------------------- 
전체 가구수          3,295,283            4,117,639              5,275,660              3,176,227
장애 가구수            373,355              459,409                575,898                  536,129
출현율                      11.3                    11.2      H            10.9                      16.9
--------------------------------------------------------------------------------------
※ 본 자료에 제시된 장애인 복지시책에 대한 안내는 2006년도 기준임(조사기간 2005년 7월-9월)





H. 장애유형별 장애원인 (단위: %)
--------------------------------------------------------------------------------------
  구분            선천적원인  출산시원인  후천적질환    후천적사고    미상            계
--------------------------------------------------------------------------------------
  지체장애              1.6          0.1          38.3            58.8            1.2            100
  뇌병변장애          2.2          2.3          82.1            11.5            1.9            100
  시각장애              5.4          0.3          50.0            36.3            8.0            100
  청각장애              3.7          0.3          68.2            18.1            9.7            100
  언어장애            22.8          -            52.8            10.1            14.3            100
  정신지체장애      23.2          3.9          20.8            12.5            39.6            100
  발달장애            13.2          7.3          12.3            1.7              65.5            100
  정신장애              0.9            -            82.4            7.3              9.4              100
  신장장애              1.9            -            92.5            3.8              1.7            100
  심장장애            10.1          -            88.1            0.9              0.9            100
  호흡기장애            -            -            93.0            4.1              2.9            100
  간장애                  -            -            100              -                -              100
  안면장애            19.3          -            9.6            63.9              7.2            100
  장루/요루장애        -            -            100              -                -              100
  간질장애              8.8          -            33.6            23.7              33.9            100
--------------------------------------------------------------------------------------
  계                      4.0          0.7          52.4            36.6              6.3            100
--------------------------------------------------------------------------------------
※ 본 자료에 제시된 장애인 복지시책에 대한 안내는 2006년도 기준임(조사기간 2005년 7월-9월)



 

















 
 

Total 346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86 特殊敎育とは? 조홍중 12-03 12885 656
285 適合な敎育課程とは? 조홍중 12-03 13222 1247
284 国際シンポジウム 基調講演, 2011.12.10. 조홍중 10-19 13167 1229
283 노트르담의 꼽추 조홍중 11-09 15072 1360
282 논문집 게재원고작성법 조홍중 12-23 15684 835
281 2010년 특수교육 교육과정 조홍중 12-11 15016 727
280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학규정 조홍중 06-11 15131 863
279 특수교육 대상자의 특별전형 조홍중 02-12 13155 962
278 노트르담의 꼽추(Hunchback of Notre Dame) 조홍중 10-29 13921 849
277 ▣ 임용시험 개정 안내 조홍중 06-14 13385 908
276 교수전략의 수정 조홍중 06-07 13596 1021
275 ▣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시험 범위 조홍중 06-07 13161 978
274 ▣ 장애 분류 및 등급 조홍중 06-23 14973 762
273 인문사회 연구윤리 매뉴얼(2014) 조홍중 06-12 15979 794
272 특수교육학과 승인 현황(’06.1.3.현재) 조홍중 05-26 13642 774
 1  2  3  4  5  6  7  8  9  10    

Copyright(c) Cho Hong Joong All rights reserved.
Comments & Questions
hongjoong-cho@hanmail.net , develop20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