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홍중닷컴

HOME Contact... 조홍중 소개특수교육의 소개장애논문 소개용어설명게시판

Hot News
Q & A
Seminar

img11.gif


 
작성일 : 15-11-10 05:51
발달지체의 이해(p.107)
 글쓴이 : 조홍중 (222.♡.32.142)
조회 : 13,807   추천 : 26  
   제12장_발달지체_developmental_delay_의_이해_p.107_001.pdf (590.4K) [59] DATE : 2022-01-06 23:24:15

제12장 발달지체(developmental delay)의 이해(p.107)

  발달지체(developmental delay)는 주로 나이가 어린 영유아에게 적용되는 용어로 특정장애로 진단되지 않지만 자신의 연령 표준보다 더 낮은 기능을 초래하는 발달상의 차이를 의미한다(Dunlap, 2009).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영역별로 장애를 구분하여 특수교육 적격성을 인정하는 제도하에서 장애 진단을 확정하기에는 아직 어린 영유아가 특정 장애로 진단되지 않고도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9세 이하의 아동의 경우 ① 시각장애(맹을 포함한 시각장애), ② ③ -④ 청각장애⑤ 지적장애⑥ 중복장애,⑦ 지체장애⑧ 기타 건강상의 장애⑨ 정서장애⑩ 특정학습장애⑪ 말 또는 언어장애⑫ 외상성 뇌손상⑬ 자폐증의 13개 영역의 장애를 지닌 것으로 진단받지 않더라도 발달지체를 보이는 것으로 판별되면 특수교육 대상자로 인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발달지체로 판별된다는 것은 적절한 진단도구 및 방법을 통하여 신체발달인지발달의사소통발달사회적 또는 정서적 발달적응행동발달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지체를 보임으로써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아동으로 평가되는 것을 의미한다이것은 아동의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특정 장애명으로 진단하기 어렵거나 장애 표찰의 부작용을 우려될 때 별도의 용어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특수교육의 적격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이소현박은혜, 2011, p.16). 


출처Dunlap, L. L.(2009). An intruduction to ealr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irth to age five. Pearson: Upper Saddle River, NJ. 

         이소현박은혜(2011). 특수아동 교육학지사.p.16.


 
 

Total 90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5 특수교사 자격증 제도 조홍중 12-20 14899 17
74 집단검사의 연령 최소 연령 조홍중 12-20 13453 26
73 발달지체의 이해(p.107) 조홍중 11-10 13808 26
72 영재아동의 이해(pp.108-110) 조홍중 09-05 13974 56
71 중도장애 및 중복장애의 이해(pp. 111-114) 조홍중 09-05 13855 59
70 교과교육의 이해(pp.115-119) 조홍중 08-31 12919 62
69 교수적합화(pp.120-126) 조홍중 02-16 12268 474
68 개별화교육계획의 이해(pp.127-137) 조홍중 07-10 12477 632
67 통합교육의 이해(pp.138-144) 조홍중 07-08 10803 633
66 협력교수의 이해(pp.145-148) 조홍중 07-05 11134 633
65 순회교육의 이해(pp.149-154) 조홍중 06-29 13444 869
64 진로교육의 이해(pp.155-160) 조홍중 10-19 17981 905
63 특수교육 방법의 이론적 모델(pp.161-165) 조홍중 06-15 12381 988
62 발작(seizure),뇌전증(epilepsy)이란? 조홍중 01-08 14132 1050
61 2023년 한국 특수교육 실태 조홍중 07-27 13663 1161
 1  2  3  4  5  6  

Copyright(c) Cho Hong Joong All rights reserved.
Comments & Questions
hongjoong-cho@hanmail.net , develop2015@naver.com